[투자] 자녀 출생부터 30세까지 증여 전략 정리
안녕하세요.
자녀가 막 태어난 시점부터 30세까지 증여를 계획한다면, 비과세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자녀 출생부터 30세까지 증여할 수 있는 최대 금액과 이를 활용한 투자 전략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54bT/btsMbvfBdKt/GyOQhgonYbxmqqFiTyKX8k/tfile.webp)
1. 출생부터 30세까지 비과세 증여 한도 정리
한국에서는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, 미성년자와 성인에 따라 비과세 한도가 다릅니다. 이를 활용하면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증여하여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(1) 미성년자(0~18세) 비과세 증여 한도
미성년자: 10년간 2천만 원까지 증여세 비과세
출생 시부터 18세까지 10년 주기로 증여하면 4천만 원까지 비과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3ATY/btsMbvzOjrJ/kGXBBJjINhrkRxkNqKDIkK/tfile.png)
(2) 성인(19~30세) 비과세 증여 한도
성인이 되면 비과세 한도가 10년간 5천만 원으로 증가
30세까지 두 번의 증여 기회를 활용하여 1억 원까지 추가 증여 가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TjhB/btsMa9qgHS9/10ZdmzGabv0OND0dJbXFh1/tfile.png)
(3) 최종 정리: 출생~30세까지 비과세 증여 총액
➡ 출생부터 30세까지 총 1억 4,000만 원을 증여세 없이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StQP/btsMaSPNL0O/kPdJzwcXKItdieYbheLPXk/tfile.png)
증여받은 금액을 투자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세금은 어떤것이 있고, 어떤 투자방식이 좋을지 궁금하시면 아래글도 읽어보세요.
https://narhak.tistory.com/m/1030
[투자] 자녀 증여금 활용 투자 전략
안녕하세요.증여한 자금을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투자하면, 단순 저축보다 더 큰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해외 주식 투자 시 양도소득세, 배당소득세, 상속세 등 세금 이슈를 고려해
narhak.tistory.com